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드라마] 와이 우먼 킬 시즌1 WHY WOMEN KILL / 루시 리우, 지니퍼 굿윈, 커비 하웰 밥티스트
    문화생활 2022. 12. 3. 23:52
    반응형

     

    ※ 스포주의

    순서대로 베스 앤, 시몬, 테일러 (+정주행을 완료하면 보이는 것: 각자의 살인 도구) / 모든 사진 출처: imdb

     

    1. 등장인물 (주인공 + α)

     

     1) 1963년 

      베스 앤 (지니퍼 굿윈)

     - 유능하지만 가부장적인 남편을 내조하며 사는 가정주부

     - 실은 행복하지 않으면서도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가부장제에 순응

     - 남편이 잔을 손가락으로 톡톡 치면 잔을 채워주는 인간 리필기 취급을 받으면서도 남편을 두둔할 정도

     - 그러다가 남편이 바람난 것을 알게 됨

     - 상냥한 미소가 트레이드 마크

    손가락으로 잔을 톡톡 치면
    벌떡 일어나서 잔을 채워드려요
    하지만 전 행복하답니다

     ② 롭 (샘 재거)

     - 와이프와 자식을 책임지는 가부장 (X) 와이프 자식 모두 홀랑 버릴 준비가 되어있는 가부장 (O)

     - 그런 주제에 스윗한 남편인 척 위선 떠는 게 화룡점정!

    밥 얻어먹으려고 결혼함;

     

    2) 1984년

    시몬 (루시 리우)

     - 개성 뚜렷한 세 시대의 다양한 등장인물 중에서도 독보적인 존재감

     - 아름다운, 화려한, 예술적인, 사교적인, 돈이 많은, 지랄맞은, 나르시시스트, 파티의 인간화

     - 3번째 결혼생활을 하던 중 남편 칼이 게이라는 것을 알게 됨

    집안 곳곳에 본인 초상화를 걸어놓는 자기애
    절친이자 애인 엄마 & 게이 남편과. 맵다 매워

     

     ② 토미 (레오 하워드)

     - 어려도 너무 어린 토미

    연하.. 좋은데... 20살 이상 차이는.. 뭐 그건 그렇다 쳐도... 친구 아들... 뭐 그것도 그렇다 쳐도..

    어린이와 성인으로 처음 만나 자라는 모습을 봐왔다는 설정이,, 

    (엔딩 '열쇠의 연쇄' 장면도 흐뭇하게 보다가 애기 토미 나오는 장면에서 흠칫)

     

    하여튼 아줌마한테 첫눈에 반해서 보자마자 플러팅하는 너도 보통은 아니다

     

     - 하지만 싱그러운 한 송이 꽃같은 그,,

    첫 등장부터 기대를 심어주고, 그 기대를 정확하게 충족시켜줬던

    이런 막장 주부극에 막상 빠지면 섭섭한 혈기왕성 직진연하 캐릭터 (특징: 나이에 비해 성숙한 모습과 미성숙한 모습을 번갈아가며 보여주는 풋풋함 but 열정과 사랑만큼은 진또배기)

    부잣집 도련님이지만 프로알바러인 토미. 자녀 자립성 발달에 전혀 관심 없어보이는 나오미가 이 꼴을 두고 보는 게 신기

     

    3) 2019년

     ① 테일러 (커비 하웰-밥티스트)

     - 페미니스트, 유능한 변호사, 양성애자

     - 각본가 남편과 오픈 매리지 중

     - 폭력적인 ex로부터 여자 애인을 보호해주기 위해 세 명이서 함께 살게 됨

    고용주에다 짱짱변호사인 나에게 맨스플레인을? 광기 장전
    "My d*ck is bigger than yours :)"

     

      ② 제이드 (알렉산드라 다다리오)

    '아내의 애인과 동거'라는 무리수도 불사하게 만드는 미모
    서양판 우렁각시마냥 요리와 청소까지
    각본 쓰는 앞에서 훌렁훌렁 벗어던지고 수영까아쥐
    And she said yes. -남성 판타지 충족 완-

     

     

    2.  감상

     

     ✔ 루시 리우의 시몬

     - 미쳐버린 연기력, 캐릭터 소화력

     - 할리우드에서 동양인 여성으로서 임팩트 있는 활약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응원과 지지를 보내기에 충분한데

    <킬 빌>, <미녀 삼총사>, <시카고> 등 작품에서 마주칠 때마다 시선을 잡아끄는 매력과 카리스마가 인상적이었다.

     - 하지만 <와이 우먼 킬>은 어나더 레벨

     - 루시 리우를 길게, 오래 본다는 것. 온전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루시 리우는 이렇게나 대단하구나

     - 동양인 여성이 이렇게나 매력적이고 선망받고 성공한 역할로 나와서, 그리고 그걸 너무 찰떡같이 잘 소화해내서 너무 좋았다

     - 시몬을 다시 보지 못한다는 게 아쉬워서 스핀 오프라도 있기를 바랄 정도

     

     - 하지만 칼을 너무 쿨하게 용서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했다

     - 친구, 가족으로서 칼을 사랑하고 소중히 생각하는 마음은 충분히 전달되었지만

     처음으로 사랑해서 결혼한 게 칼이었다고 했는데, 그리고 그 사랑에는 이성애적 사랑이 포함되어 있었을 텐데.

     -  '성지향성을 숨기고 결혼생활을 이어간 걸로도 모자라 불륜을 한 것 + 자살하는 척한 것'이 실제 심각성에 비해 드라마적 허용으로 좀 가볍게 그려진 것 같다

    사랑, 우정, 의리 모두 끝내주는 시몬

     

    ✔ 세 가지 결말

     - 베스 앤의 결말이 가장 마음에 든다

     - 마지막에 롭의 귀에 무엇을 속삭였을지 궁금해서 부족한 영어 실력을 탓하며 찾아봤는데, 해외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더라. ("~Emily die" 로 보여 에밀리의 죽음과 관련하여 말했다는 의견이 많은 듯)

    일부러 명확하지 않게 연출해서 관객의 상상에 맡긴 듯하다

     

    ✔ 탱고 연출

     - '한 집에서 일어난 사건'이라는 설정이 빛을 발하는 연출

     - 약간 정신 사납기도 했지만 신선했고, 무엇보다 음악, 동선, 모션 등 전체적으로 잘 짜여진 연출 덕에 감탄하며 봤다

     - 카타르시스가 있었던 장면 (그 카타르시스의 많은 지분은 베스 앤의 공)

    맑은 눈의 광인 제이드 존재감ㄷㄷ

     

    ✔ 열쇠의 연쇄 씬

     - 드라마를 보면서 '저 셋이 만나면 어떨까?' 하는 궁금증을 가진 것은 나뿐만이 아닐 것이다.

     - 그런 궁금증을 싹 긁어주는 장면 

     - 세 주인공의 과거와 미래도 볼 수 있어 반갑고 좋았다

    가장 순응적이어보이던 인물이 빚어낸 가장 개혁적인 결말
    다시 봐도 롭이 빠지고 둘이 사는 게 너무나 자연스러운 서사

     

    시대를 불문하고 백만불짜리 미소
    토미야 와서 휠체어라도 좀 밀어라.
    마지막까지 앙큼상큼 시몬

     

    ✔ 깔끔 엔딩

     - 이렇게 욕심 부리지 않고 시즌 1으로 깔끔하게 끝내는 엔딩이라니.

     - 이때까지 용두사미 드라마를 얼마나 많이 봤던가. 특히 미국 드라마는 시즌12345678 뇌절이 특기 아니던가.

     - 하지만 그러니 오히려 아쉽다. 아직 보낼 준비가 안 됐는데ㅜ.. 

    시즌 2가 있길래 당연히 시즌 2까지 같은 인물들이 나오는 줄 알았는데 아닌 걸 알고 솜사탕 물에 씻은 너구리 됨ㅜ;

    시즌 2는 재미없대서 더 아쉬운.. 그럴 거면 스핀오프나 만들어주지!

     

    ✔ 여성 서사

     -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

     - 불현듯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 하나만 나와도 감지덕지 좋아라 하는 참담한 조국의 현실이 떠오르며 약간 슬퍼진다

     - 여성 서사 외에도 pc한 노력들이 돋보인다. 다양한 인종을 주연으로 내세운다든지, 성소수자 차별을 다룬다든지. 

     - 시몬과 칼의 서사를 비판하는 의견도 있는 듯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모두의 입맛에 꼭 맞춘(그러면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는) 여성 서사가 나오기는 너무 힘들기 때문에 파이를 늘리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비판들도 경청하며 나아가야겠지.

     

    ✔ 재미

     - 다 떼고 그냥 재미있었다

     - 특히 찰진 대사, 위트가 마음에 쏙 (예: 칼과 시몬의 티키타카)

     - 덕분에 오랜만에 정주행한 드라마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